mynews-08 님의 블로그

mynews-08 님의 블로그 입니다. 기본적으로 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로 건강을 지킵시다.

  • 2025. 3. 19.

    by. mynews-08

    목차

      1. 근막통증증후군이란?

      근막통증증후군(Myofascial Pain Syndrome, MPS)은 근육과 근막(근육을 감싸는 얇은 막)에 통증과 결절(뭉침)이 발생하는 만성적인 통증 증후군이다. 흔히 "근육이 뭉쳤다"라고 표현하는 증상이 이에 해당한다. 근육이 지속적으로 긴장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 근섬유가 수축하면서 통증을 유발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질환은 단순한 근육 피로와 다르게 장기간 지속되며,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만성 통증으로 발전할 수 있다. 현대인의 생활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근막통증점

      2. 근막통증증후군의 원인

      근막통증증후군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2.1. 신체적 원인

      1.    지속적인 근육 긴장: 잘못된 자세나 반복적인 움직임으로 인해 특정 근육이 지속적으로 긴장 상태를 유지하면 트리거 포인트(trigger point)가 형성되어 통증이 발생한다.

      2.    근육 사용 부족: 오랫동안 움직이지 않거나 운동 부족으로 인해 근육이 약해지고 뻣뻣해질 경우 발생할 수 있다.

      3.    외상 부상: 넘어지거나 근육이 강한 충격을 받을 경우 근섬유가 손상되어 만성 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4.    과도한 운동 무리한 근력 사용: 갑작스러운 강한 운동이나 무리한 근육 사용으로 인해 근육에 부담이 가해지면서 근막통증증후군이 생길 수 있다.

       

      2.2. 심리적 원인

      1. 스트레스: 스트레스가 지속되면 근육이 긴장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근막에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2. 우울증 및 불안감: 정신적 긴장은 신체적 긴장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특히 어깨, 목, 허리 근육이 지속적으로 수축하여 통증

       

      2.3. 환경적 요인

      1.    잘못된 자세: 장시간 컴퓨터 작업이나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해 목과 어깨 근육이 긴장될 수 있다.

      2.    차가운 환경: 에어컨 바람을 직접 맞거나 추운 환경에서 근육이 긴장될 경우 근막통증증후군이 유발될 수 있다.

      3.    불편한 침구 의자: 올바른 수면 자세가 유지되지 않거나 의자의 높이가 맞지 않을 경우 근육에 부담이 가해진다.


      3. 근막통증증후군이 자주 발생하는 환경

      3.1. 사무직 근로자

      ·       하루 종일 책상 앞에 앉아 있는 경우 자세가 틀어지기 쉽다.

      ·       컴퓨터 모니터가 너무 낮거나 키보드 위치가 잘못되면 어깨와 손목에 부담을 준다.

      ·       장시간 앉아 있으면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근육이 경직된다.

       

      3.2. 운전기사 및 배달업 종사

      ·       장시간 운전으로 인해 허리와 어깨 근육이 긴장된다.

      ·       장거리 이동으로 인해 근육 이완 시간이 부족하다.

      3.3. 학생 및 수험생

      ·       오랫동안 같은 자세로 책을 보거나 필기를 하면 목과 어깨 근육이 긴장된다.

      ·       스트레스로 인해 근육이 더욱 경직될 가능성이 높다.

      3.4. 운동선수 및 피트니스 마니아

      ·       무리한 운동 후 회복 시간이 부족할 경우 근막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       잘못된 운동 자세로 특정 근육이 과도하게 사용되면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3.5. 주부 및 육아 중인 부모

      ·       반복적인 가사노동(설거지, 빨래, 청소 등)으로 인해 특정 근육에 지속적인 부담이 간다.

      ·       육아 중 아이를 안거나 업는 동작이 반복되면 허리와 어깨 근육이 경직될 수 있다.


      4. 근막통증증후군 예방법

      4.1. 올바른 자세 유지

      ·       컴퓨터 사용 : 모니터를 눈높이에 맞추고, 엉덩이를 등받이에 붙이고 허리를 곧게 펴는 것이 중요하다.

      ·       운전할 : 등받이를 너무 뒤로 젖히지 않고 허리를 곧게 유지한다.

      ·       공부 독서 : 책상을 너무 낮게 설정하지 말고, 허리를 지탱해 줄 수 있는 의자를 사용한다.

      4.2. 적절한 스트레칭과 운동

      ·       하루 10~15분씩 스트레칭을 하여 근육의 긴장을 풀어준다.

      ·       요가나 필라테스를 통해 근육을 이완시키고 유연성을 키운다.

      ·       장시간 같은 자세로 있을 경우 1시간마다 가볍게 몸을 움직인다.

       

      4.3. 건강한 생활 습관

      ·       충분한 수면: 하루 7~8시간의 숙면을 취하여 근육 피로를 회복한다.

      ·       균형 잡힌 식단: 단백질과 미네랄이 풍부한 식단을 유지하여 근육 건강을 지킨다.

      ·       스트레스 관리: 명상, 음악 감상, 산책 등을 통해 정신적 긴장을 완화한다.



      5. 근막통증증후군 치료법

      5.1. 물리치료 및 마사지

      ·       트리거 포인트 마사지: 뭉친 근육을 손으로 눌러 혈류를 개선하고 통증을 완화한다.

      ·       온찜질 냉찜질: 온찜질은 혈액순환을 돕고, 냉찜질은 염증 완화에 효과적이다.

      5.2. 약물치료

      • 근육 이완제나 소염진통제를 사용하여 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

      5.3. 도수치료 및 침 치료

      ·       물리치료사의 도수치료를 받으면 근육의 균형을 맞추는 데 도움이 된다.

      ·       침 치료는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근육의 긴장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5.4. 생활 습관 교정

      ·       하루 일과 중 자세를 점검하고, 틈틈이 스트레칭을 하는 습관을 들인다.

      ·       과도한 근육 사용을 피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한다.



      근막통증증후군은 현대인의 잘못된 생활 습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예방과 치료가 충분히 가능한 질환이다.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규칙적인 스트레칭과 건강한 생활 습관을 실천하면 통증을 줄이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